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2022; 33(2): 67-73
Published online April 25, 2022 https://doi.org/10.3807/KJOP.2022.33.2.067
Copyright © Optical Society of Korea.
Sung Hee Wi1, Min Jin Kang2, Eui Sun Hwang2, Gi Hyeon Baek2, Jin Hwan Kim3, Hyeon Uk Park3, Byoung-Ho Cheong1,2
위성희1ㆍ강민진2ㆍ황의선2ㆍ백기현2ㆍ김진환3ㆍ박현욱3ㆍ정병호1,2†
Correspondence to:†bhcheong84@korea.ac.kr, ORCID: 0000-0002-0276-388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a head-mounted display (HMD) for virtual-reality applications, a narrow viewing angle is preferred to the usual, wide viewing angle because the HMD is positioned close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the display position is fix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ack-light unit (BLU) for implementing a narrow viewing angle, which is suitable for a HMD. By optimizing the scattering patterns in the light-guide-plate and inverse-prism structures, the viewing angle and correlations between structural parameters in the BLU components are analyzed with ray-tracing simulations. As a result, a double-angle inverse-prism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cattering patterns of a light-guide plate is chosen, which results in a 14% increase in center luminance, a 16% decrease in the vertical viewing angle, and a light efficiency of up to 70%, compared to a conventional BLU. Thus, the new BLU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a high-efficiency liquid crystal display.
Keywords: Head-mounted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Viewing angle control, Optical simulation
OCIS codes: (080.2740) Geometric optical design; (120.5820) Scattering measurements; (220.2945) Illumination design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는 사람의 눈앞 근거리에 위치하고 눈을 덮는 공간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다른 특성을 필요로 한다. 즉 2–3인치 내외의 작은 화면에 고화질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4K 이상의 고해상도가 필요하고, 고정된 위치 때문에 좁은 시야각이 필요하며, 휴대성을 위해 저소비 전력 구동이 필요하다(그림 1)[1]. 또한 HMD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므로 시야각 이외의 방향에서의 불필요한 빛의 누설을 최소화해야 한다. 최근 핸드폰을 포함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에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있으나, OLED의 경우 패널 자체에서 시야각을 좁게 제어하는 기술은 제한적인 반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시야각 제어 기술은 과거 수년에 걸쳐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어 액정을 이용한 방식[2], louver film을 이용한 필터 방식[3], backlight unit (BLU)을 이용한 방식[4-7]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BLU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이나 광학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 확산필름)의 설계 인자를 변경함으로써 시야각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4-7].
본 논문에서는 LCD의 BLU 구조 최적화를 통하여 HMD의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LGP 하부의 산란 패턴 형상과 LGP의 출광 분포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협시야각에 적합한 산란 패턴 형상을 결정하였으며, LGP 상부에 역프리즘 필름을 추가하여 LGP의 빛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였다. 특히, 역프리즘 필름의 형상을 단면과 이중면 구조에 대해 각각 최적화함으로써, 이중면 역프리즘 필름의 경우 집광 효과로 인해 단면 역프리즘 구조 대비 최대 휘도가 14%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입사된 광에너지 대비 출광된 광에너지 비율을 나타내는 광효율의 경우, 최적 구조에서 좌우 40도의 시야각 조건으로 약 70%의 광효율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역프리즘 구조의 BLU를 최적화함으로써 협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HMD용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림 2는 모바일용 LCD의 BLU 구조와 측정된 광분포도로 그림 2(a)는 LGP, (b)는 일반 BLU 구조, (c)는 역프리즘 필름이 적용된 BLU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 2(a)의 LGP는 하단면에 광산란용 bump 패턴이 있고, 이 bump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LED에서 나온 빛은 LGP를 따라서 전반사되다가 bump를 만나면 전반사 각을 벗어나 LED의 반대 방향으로 편중되어 빠져나온다. LED 근방의 빛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산란 패턴의 크기와 간격을 위치에 따라 조절하면 LGP 상면에 출광되는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그림 2(a), 그림 3(b)). 그림 2(b)는 LGP 위에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2장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BLU 구조이고, 그림 2(c)는 LGP 위에 역프리즘 시트 1장이 추가된 구조이다. BLU 구조가 간단할수록 광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에 역프리즘을 적용한 방식이 효율이 높다. 그림 2(d)–2(f)는 위 구조의 BLU에 대해 측정된 휘도 분포도를 보여준다. 휘도 분포는 Eldim 사의 EZContrast 장비(EZContrast; Eldim, Hérouville-Saint-Clair, France)로 측정하였다[8]. 그림 2(d)에서 아래쪽 경계부에 등간격으로 보이는 붉은색 반점은 실측과정에서 LED의 빛이 LGP를 통하지 않고 직접 측정된 결과이다. 그림 2(e)와 그림 2(f)를 비교하면 역프리즘을 적용한 방식이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시야각 분포가 상하는 좁고 좌우가 넓은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HMD에 더 적합한 방식임을 알 수 있다.
BLU의 광분포는 각 구성 요소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LGP의 출광 분포는 하부 산란 패턴의 형태가 중요한데, 여기서는 산란 패턴의 형상을 구형(sphere)을 기반으로 하고 그 절단면의 위치에 따라 볼록한 정도를 가변하였고, 그 형상을
시뮬레이션은 LightTools S/W (Synopsys, CA, USA)[9]를 이용하였고 그림 3(a)에 LGP 모델을 나타내었다. 32 mm × 48 mm의 LGP는 측면에 4개의 LED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LED는 각각 0.25 Lumen의 광량을 방출하므로 총 광량은 1 lumen이다.
그림 4의 (a)
역프리즘 구조는 그림 2(f)에서 보이듯 가로 시야각이 넓고, 상하 시야각이 좁은 광분포 때문에 HMD에 적합하며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형상의 변화에 대한 광분포 변화를 직접적으로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림 5는 역프리즘의 좌우 두 경사면인 A, B에 입사되는 ray의 경로를 나타낸다. 각 경사면의 경사각은
역프리즘의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는
그림 6은 위의 역프리즘 구조를 그림 4의 도광판 bump 형상 4(a)–4(d)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역프리즘에 의해 LGP에서 나온 빛이 위로 꺾여서 중앙(정면)으로 분포하게 된다. 그림 4(a)–4(d)에서 LGP의 휘도 분포가 좁아지는 것처럼, 여기서도 그림 6(a)에서 그림 6(d)로 갈수록 중앙부의 광분포가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극좌표 그림의 아래 방향(
표 1은 본 구조의 최대 휘도와 광효율, 즉 총 광에너지 중, 정면으로 빠져나오는 광에너지 비율을 나타낸다. 입력 광에너지(= 1 lumen)를 상면으로 방출된 총 lumen 값, 정면 기준 30도 이내의 lumen (= Lum30), 정면 기준 40도 이내의 lumen (=Lum40)으로 구분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Lum40 값은
Table 1 Simulation results of luminance, total luminous fluxes, and efficiency of luminous flux within solid angles of 30° and 40° for various of
No. | Luminance (cd/m2) | Total lumen (0° < | Lum30 (%) ( | Lum40 (%) ( | |
1 | 2 | 258 | 0.69 | 41.3 | 55.8 |
2 | 6 | 293 | 0.68 | 44.8 | 59.5 |
3 | 10 | 344 | 0.61 | 52.8 | 68.1 |
4 | 14 | 326 | 0.56 | 55.3 | 70.3 |
역프리즘에 입사되는 ray는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위로 출사되는 빛이 퍼지게 된다(그림 5(b)). 그러므로 경사면 B를 두 개의 면으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각으로 반사시키면 퍼지는 빛을 수렴하도록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야각을 더욱 좁게 할 뿐만 아니라 휘도 또한 증가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림 7에 이중각을 적용한 역프리즘 구조를 나타내었다. B 면을 두 개의 면으로 나누어 각각
그림 8은 이중각 역프리즘 구조를 적용한 휘도 분포를 보여준다. 여기서 LGP의 bump 구조는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광시야각에 최적화된 일반적인 LCD를 HMD에 적합한 좁은 시야각을 위한 광학 설계 결과를 연구하였다. BLU의 LGP 하부면 산란 패턴의 형상과 역프리즘 구조를 각각 최적화함으로써 기존 대비 상하 시야각은 좁게 하면서도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기존 LCD 대비, 휘도 14% 증가, 상하 시야각은 16% 감소한 결과를 얻었으며, 좌우 시야각 40도 기준 70% 수준의 광효율이 예상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BLU의 산란 패턴의 형상이 좁은 시야각을 구현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고, BLU의 휘도 향상은 이중각 역프리즘 구조로 개선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구조에서 정면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분포한 빛을 억제함으로써 가능함을 알게 되었으며 고효율 HMD 디스플레이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21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3626).
2022; 33(2): 67-73
Published online April 25, 2022 https://doi.org/10.3807/KJOP.2022.33.2.067
Copyright © Optical Society of Korea.
Sung Hee Wi1, Min Jin Kang2, Eui Sun Hwang2, Gi Hyeon Baek2, Jin Hwan Kim3, Hyeon Uk Park3, Byoung-Ho Cheong1,2
1Division of Display and Semiconductor Physics, Korea University, Sejong 30019, Korea
2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Korea University, Sejong 30019, Korea
3LMS co., Ltd., Gyeonggi-do, Pyeongtaek 17709, Korea
Correspondence to:†bhcheong84@korea.ac.kr, ORCID: 0000-0002-0276-388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n a head-mounted display (HMD) for virtual-reality applications, a narrow viewing angle is preferred to the usual, wide viewing angle because the HMD is positioned close in front of the user's eyes, and the display position is fix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ack-light unit (BLU) for implementing a narrow viewing angle, which is suitable for a HMD. By optimizing the scattering patterns in the light-guide-plate and inverse-prism structures, the viewing angle and correlations between structural parameters in the BLU components are analyzed with ray-tracing simulations. As a result, a double-angle inverse-prism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cattering patterns of a light-guide plate is chosen, which results in a 14% increase in center luminance, a 16% decrease in the vertical viewing angle, and a light efficiency of up to 70%, compared to a conventional BLU. Thus, the new BLU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a high-efficiency liquid crystal display.
Keywords: Head-mounted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Viewing angle control, Optical simulation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는 사람의 눈앞 근거리에 위치하고 눈을 덮는 공간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다른 특성을 필요로 한다. 즉 2–3인치 내외의 작은 화면에 고화질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4K 이상의 고해상도가 필요하고, 고정된 위치 때문에 좁은 시야각이 필요하며, 휴대성을 위해 저소비 전력 구동이 필요하다(그림 1)[1]. 또한 HMD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므로 시야각 이외의 방향에서의 불필요한 빛의 누설을 최소화해야 한다. 최근 핸드폰을 포함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에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있으나, OLED의 경우 패널 자체에서 시야각을 좁게 제어하는 기술은 제한적인 반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시야각 제어 기술은 과거 수년에 걸쳐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어 액정을 이용한 방식[2], louver film을 이용한 필터 방식[3], backlight unit (BLU)을 이용한 방식[4-7]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BLU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이나 광학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 확산필름)의 설계 인자를 변경함으로써 시야각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4-7].
본 논문에서는 LCD의 BLU 구조 최적화를 통하여 HMD의 협시야각을 구현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LGP 하부의 산란 패턴 형상과 LGP의 출광 분포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협시야각에 적합한 산란 패턴 형상을 결정하였으며, LGP 상부에 역프리즘 필름을 추가하여 LGP의 빛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였다. 특히, 역프리즘 필름의 형상을 단면과 이중면 구조에 대해 각각 최적화함으로써, 이중면 역프리즘 필름의 경우 집광 효과로 인해 단면 역프리즘 구조 대비 최대 휘도가 14%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입사된 광에너지 대비 출광된 광에너지 비율을 나타내는 광효율의 경우, 최적 구조에서 좌우 40도의 시야각 조건으로 약 70%의 광효율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역프리즘 구조의 BLU를 최적화함으로써 협시야각 특성이 개선된 HMD용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림 2는 모바일용 LCD의 BLU 구조와 측정된 광분포도로 그림 2(a)는 LGP, (b)는 일반 BLU 구조, (c)는 역프리즘 필름이 적용된 BLU 구조를 나타낸다. 그림 2(a)의 LGP는 하단면에 광산란용 bump 패턴이 있고, 이 bump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LED에서 나온 빛은 LGP를 따라서 전반사되다가 bump를 만나면 전반사 각을 벗어나 LED의 반대 방향으로 편중되어 빠져나온다. LED 근방의 빛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산란 패턴의 크기와 간격을 위치에 따라 조절하면 LGP 상면에 출광되는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그림 2(a), 그림 3(b)). 그림 2(b)는 LGP 위에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2장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BLU 구조이고, 그림 2(c)는 LGP 위에 역프리즘 시트 1장이 추가된 구조이다. BLU 구조가 간단할수록 광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에 역프리즘을 적용한 방식이 효율이 높다. 그림 2(d)–2(f)는 위 구조의 BLU에 대해 측정된 휘도 분포도를 보여준다. 휘도 분포는 Eldim 사의 EZContrast 장비(EZContrast; Eldim, Hérouville-Saint-Clair, France)로 측정하였다[8]. 그림 2(d)에서 아래쪽 경계부에 등간격으로 보이는 붉은색 반점은 실측과정에서 LED의 빛이 LGP를 통하지 않고 직접 측정된 결과이다. 그림 2(e)와 그림 2(f)를 비교하면 역프리즘을 적용한 방식이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시야각 분포가 상하는 좁고 좌우가 넓은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HMD에 더 적합한 방식임을 알 수 있다.
BLU의 광분포는 각 구성 요소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LGP의 출광 분포는 하부 산란 패턴의 형태가 중요한데, 여기서는 산란 패턴의 형상을 구형(sphere)을 기반으로 하고 그 절단면의 위치에 따라 볼록한 정도를 가변하였고, 그 형상을
시뮬레이션은 LightTools S/W (Synopsys, CA, USA)[9]를 이용하였고 그림 3(a)에 LGP 모델을 나타내었다. 32 mm × 48 mm의 LGP는 측면에 4개의 LED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LED는 각각 0.25 Lumen의 광량을 방출하므로 총 광량은 1 lumen이다.
그림 4의 (a)
역프리즘 구조는 그림 2(f)에서 보이듯 가로 시야각이 넓고, 상하 시야각이 좁은 광분포 때문에 HMD에 적합하며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형상의 변화에 대한 광분포 변화를 직접적으로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림 5는 역프리즘의 좌우 두 경사면인 A, B에 입사되는 ray의 경로를 나타낸다. 각 경사면의 경사각은
역프리즘의 형태를 결정하는 인자는
그림 6은 위의 역프리즘 구조를 그림 4의 도광판 bump 형상 4(a)–4(d)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역프리즘에 의해 LGP에서 나온 빛이 위로 꺾여서 중앙(정면)으로 분포하게 된다. 그림 4(a)–4(d)에서 LGP의 휘도 분포가 좁아지는 것처럼, 여기서도 그림 6(a)에서 그림 6(d)로 갈수록 중앙부의 광분포가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극좌표 그림의 아래 방향(
표 1은 본 구조의 최대 휘도와 광효율, 즉 총 광에너지 중, 정면으로 빠져나오는 광에너지 비율을 나타낸다. 입력 광에너지(= 1 lumen)를 상면으로 방출된 총 lumen 값, 정면 기준 30도 이내의 lumen (= Lum30), 정면 기준 40도 이내의 lumen (=Lum40)으로 구분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Lum40 값은
Table 1 . Simulation results of luminance, total luminous fluxes, and efficiency of luminous flux within solid angles of 30° and 40° for various of
No. | Luminance (cd/m2) | Total lumen (0° < | Lum30 (%) ( | Lum40 (%) ( | |
1 | 2 | 258 | 0.69 | 41.3 | 55.8 |
2 | 6 | 293 | 0.68 | 44.8 | 59.5 |
3 | 10 | 344 | 0.61 | 52.8 | 68.1 |
4 | 14 | 326 | 0.56 | 55.3 | 70.3 |
역프리즘에 입사되는 ray는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위로 출사되는 빛이 퍼지게 된다(그림 5(b)). 그러므로 경사면 B를 두 개의 면으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각으로 반사시키면 퍼지는 빛을 수렴하도록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야각을 더욱 좁게 할 뿐만 아니라 휘도 또한 증가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림 7에 이중각을 적용한 역프리즘 구조를 나타내었다. B 면을 두 개의 면으로 나누어 각각
그림 8은 이중각 역프리즘 구조를 적용한 휘도 분포를 보여준다. 여기서 LGP의 bump 구조는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광시야각에 최적화된 일반적인 LCD를 HMD에 적합한 좁은 시야각을 위한 광학 설계 결과를 연구하였다. BLU의 LGP 하부면 산란 패턴의 형상과 역프리즘 구조를 각각 최적화함으로써 기존 대비 상하 시야각은 좁게 하면서도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기존 LCD 대비, 휘도 14% 증가, 상하 시야각은 16% 감소한 결과를 얻었으며, 좌우 시야각 40도 기준 70% 수준의 광효율이 예상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BLU의 산란 패턴의 형상이 좁은 시야각을 구현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고, BLU의 휘도 향상은 이중각 역프리즘 구조로 개선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구조에서 정면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분포한 빛을 억제함으로써 가능함을 알게 되었으며 고효율 HMD 디스플레이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21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3626).
Table 1 Simulation results of luminance, total luminous fluxes, and efficiency of luminous flux within solid angles of 30° and 40° for various of
No. | Luminance (cd/m2) | Total lumen (0° < | Lum30 (%) ( | Lum40 (%) ( | |
1 | 2 | 258 | 0.69 | 41.3 | 55.8 |
2 | 6 | 293 | 0.68 | 44.8 | 59.5 |
3 | 10 | 344 | 0.61 | 52.8 | 68.1 |
4 | 14 | 326 | 0.56 | 55.3 | 70.3 |
pISSN 1225-6285
eISSN 2287-321X